요즘 이슈 & 정보 모음

🖼️ AI로 만든 이미지, 저작권은 누구 걸까요?

행아플러스 2025. 4. 20. 19:32

예쁘다고 마음대로 써도 될까… 한 번쯤 생각해보게 돼요

대표문장 (미리보기)
AI로 만든 그림을 블로그에 써도 괜찮을까요?
예쁘고 자유롭게 쓰이는 이미지들, 그 권리는 어디까지 내 것일까요?


얼마 전,
AI 이미지 생성기로 만든 지브리풍 일러스트를
정성껏 쓴 블로그 글에 올렸어요.

처음엔 참 만족스러웠죠.
"와, 이거 썸네일도 되고 분위기도 딱이네!"

근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더라고요.

“이 이미지를 내 것처럼 써도 되는 걸까?”
“혹시 저작권 문제 생기는 건 아닐까?”


🤖 AI 이미지, 누가 만든 걸까?

요즘 AI 이미지 앱이나 생성 툴(DALL·E, 미드저니 등)은
**우리가 입력한 키워드(프롬프트)**를 기반으로
그에 맞는 그림을 뚝딱 만들어줘요.

겉으론 “내가 만든 그림” 같지만,
실제로는 AI 모델이 생성한 결과물이에요.
그리고 이 AI는 수많은 예술가들의 작품을 학습한 결과이기도 하죠.

그래서 법적으로는,
이런 이미지는 아직도 ‘창작자=나’라고 보기 애매한 부분이 있어요.


⚖️ 그럼 AI 이미지엔 저작권이 없나요?

AI가 만든 결과물은
현행 저작권법상 “자연인(사람)”이 만든 게 아니기 때문에
법적인 저작권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.

그렇다고 아무나 막 써도 되는 건 또 아니에요.

왜냐하면:

📌 1. AI 서비스를 제공한 플랫폼의 이용 약관에 따라

→ 일부는 상업적 사용 가능
→ 일부는 "개인 사용만 허용", 또는 "출처 표기 필수"

📌 2. AI가 학습한 **원작 이미지(스타일)**에 따라

→ 지나치게 특정 작가의 스타일과 유사할 경우
“2차 저작물 침해”로 분쟁 소지가 생길 수 있어요


🧾 블로그에 AI 이미지 쓸 때, 꼭 확인할 3가지

✅ 1. 사용한 플랫폼의 이용약관

  • “상업적 사용 가능 여부”
  • “출처 표기 필요 여부”
  • 예: DALL·E(챗 gpt이미지 담당)는 대부분 자유롭게 사용 가능 (단, 공공 질서 위반 금지)

✅ 2. 스타일이 유명 작가의 작품과 지나치게 유사한지

  • 요즘은 “지브리풍”도 저작권 문제로 민감해질 수 있어요
  • 너무 노골적인 스타일 모방은 피하기

✅ 3. 사용 목적이 수익과 직접 연결되는지

  • 유튜브 썸네일, 애드센스 글에 사용 등
    → 수익과 연관되면 더 조심!

🧸 행아의 한마디

저도 처음엔 단순히
“검색으로 바로 만든 거니까 써도 괜찮겠지~”
하고 이미지를 블로그에 올렸어요.

근데 점점 AI 콘텐츠가 늘어나고,
사람들의 인식과 법도 바뀌고 있잖아요?

이젠 **“그림이 예쁘다”보다
“이건 내 글에 넣어도 괜찮은 이미지일까?”**를 먼저 생각하게 돼요.

우리 블로그도 소중하니까요.
앞으론 예쁜 이미지만큼
조금 더 믿을 수 있는 사용법도 함께 챙겨보면 어떨까요? 😊

▲ 예쁜 그림일수록 조심스러운 고민, 이건 누구의 작품일까요?

이 이미지는 OpenAI의 DALL·E 모델로 생성된 것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