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브리풍 합성부터 개인정보 걱정까지 – 안전한 AI 활용법 정리했어요
대표문장 (미리보기)
지브리풍, 연예인 스타일 합성… AI 이미지 앱 쓰고 나서 괜히 찜찜하셨던 적 있으신가요?
텍스트 AI와 이미지 AI는 어떻게 다르고, 어떻게 하면 더 안전하게 쓸 수 있을까요?
요즘 AI 이미지 앱, 정말 많죠.
셀카 한 장만 올리면
지브리 캐릭터처럼 변신도 하고,
“당신은 어떤 배우 닮았을까요?” 같은
재밌는 결과도 보여주니까 호기심에 써보게 돼요.
근데…
“이 사진, 혹시 어디로 보내졌지…?”
하는 생각 해본 적 없으신가요?
사실 저도 처음엔 아무 생각 없이 썼다가,
AI 이미지와 텍스트가 똑같은 원리인 줄 알았는데,
알고 보니 꽤 큰 차이가 있더라고요.
🤔 텍스트 기반 AI vs 이미지 기반 AI, 뭐가 다를까?
[텍스트 기반 AI]
- 예시: ChatGPT, Claude 등
- 입력 방식: 글(프롬프트) 입력
- 주요 기능: 대화, 글쓰기, 요약, 번역 등
- 민감도: 낮음 (개인정보 직접 입력 시에만 주의 필요)
- 활용 예: 블로그 글쓰기, 이메일, 정보 정리 등
[이미지 기반 AI]
- 예시: Lensa, Remini, DALL·E, 미드저니 등
- 입력 방식: 이미지(얼굴, 사진) 업로드
- 주요 기능: 합성, 캐릭터화, 스타일 변경 등
- 민감도: 높음 (얼굴 등 생체정보 포함 가능)
- 활용 예: 프로필 사진 만들기, 아트 이미지 생성 등
🔐 이미지 기반 AI, 왜 더 조심해야 할까?
- 대부분 내 얼굴 사진을 서버에 올려야 해요
- 일단 업로드하면, 해당 회사의 서버에 일시 보관되거나
학습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어요 - 일부 앱은 명확한 개인정보 보호 정책이 없거나,
해외 서버로 전송되기도 해요
그래서 **단순히 ‘재미로 했는데 괜히 찜찜한 느낌’**이 드는 이유도
이런 구조 때문이에요 😥
🧩 안전하게 AI 활용하는 팁
✅ 1. AI 이미지 앱의 개인정보 정책 꼭 확인하기
- “사진이 저장되지 않습니다”, “학습에 사용되지 않습니다”** 같은 문구 확인!
- 없거나 애매하면 사용 보류하는 게 좋아요
✅ 2. 실제 얼굴, 아이 사진은 되도록 피하기
- 익명 사진이나 아바타로만 테스트해보는 것도 방법이에요
✅ 3. 텍스트 AI도 정보 입력 시 주의
- 주민등록번호, 계좌번호, 상세 주소 등은
절대 프롬프트에 넣지 마세요! - AI는 기억 안 한다고는 하지만, 오류나 유출 가능성은 늘 존재해요
✅ 4. 가능하면 웹 기반보단 앱 설치형이 더 안전한 경우도
- 오픈소스로 내 컴퓨터 안에서만 작동하는 AI도 있어요
→ 설정이 어렵긴 하지만, 보안상 더 깔끔해요!
🌱 행아의 한마디
저도 처음엔 그냥 재미로 해봤어요.
근데 사용하고 나니까
"내 사진이 어디 서버에 저장되어 있진 않을까?"
괜히 불안해지더라고요.
그래서 알게 됐어요.
AI는 유용하지만, 내가 먼저 지켜야 할 것도 있다는 것.
조금만 조심하면, 충분히 좋은 도구가 되어줄 수 있어요.
우리 블로그도 AI랑 같이 쓰고 있지만,
불안하지 않은 기술 사용 — 그게 진짜 스마트한 디지털 라이프겠죠? 😊
▲ 텍스트로 소통하는 AI와 이미지를 만드는 AI, 같은 기술도 쓰임은 이렇게 다릅니다
이 이미지는 OpenAI의 DALL·E 모델로 생성된 것입니다.
'요즘 이슈 & 정보 모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📱 AI 이미지 앱, 쓰기 전에 꼭 확인해야 할 것들 (1) | 2025.04.20 |
---|---|
🧠“AI 이미지 앱, 내 얼굴이 학습에 쓰인다고요?” (0) | 2025.04.20 |
🏠 박나래 자택 도난 사건, 우리도 몰랐던 일상 속 허점 (2) | 2025.04.20 |
🎯 2025년 중위소득 이하 가구 복지 혜택 총정리: 꼭 챙겨보세요! (0) | 2025.04.18 |
🎯 2025년 다자녀 가구 복지 혜택 총정리: 꼭 챙겨보세요! (2) | 2025.04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