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요즘 이슈 & 정보 모음/💸 생활 금융과 세금 정보

🧩 퇴직연금이 뭐예요? IRP, DC, DB 쉽게 정리해드릴게요.

by 지후핏 2025. 5. 11.

RP, DC, DB 쉽게 정리해드릴게요

안녕하세요, 지후입니다 :)
퇴직연금, IRP, DC, DB…
말은 들어봤는데 무슨 차이인지 헷갈리셨죠?

오늘은 퇴직연금의 3가지 유형을 정말 쉽게 정리해드릴게요.
지금 직장에 다니고 있든, 프리랜서든, 자영업자든
앞으로 퇴직연금은 꼭 챙겨야 할 제도예요.


💼 퇴직연금이 뭔가요?

퇴직연금은 말 그대로 퇴직할 때 받는 돈을 미리 금융회사에 맡겨서 굴리는 제도예요.
예전에는 퇴직금을 회사가 직접 보관하고 퇴사하면 한꺼번에 주는 ‘퇴직금 제도’가 일반적이었죠.

그런데 회사가 망하면?
퇴직금도 못 받는 일이 생길 수 있었어요.
그래서 퇴직금을 금융기관(은행, 증권사 등)에 맡기고, 투자해서 불리자는 게 퇴직연금이에요.


✨ 퇴직연금의 3가지 유형

퇴직연금은 총 3가지 유형이 있어요.
각자 운용 방식과 주체가 다르기 때문에
내가 어떤 제도에 해당되는지 알아두는 게 중요해요.


1️⃣ DB형 (확정급여형)

  • 회사가 퇴직금 계산부터 운용까지 전부 알아서 관리
  • 직원은 따로 신경 쓸 필요 없음
  • 퇴직 시 받을 금액이 “정해져 있음”
  • 회사가 책임지고 굴려야 하므로, 회사가 손실을 감수

✔️ 이런 분에게:
“나는 투자나 관리 안 하고 퇴직금은 정해진 만큼 받으면 좋아요”
공공기관이나 대기업 직원에게 흔한 형태


2️⃣ DC형 (확정기여형)

  • 회사가 매달 일정 금액(퇴직금)을 적립해주고
  • 그 돈을 직원이 직접 운용
  • 펀드, 예금, ETF 등 다양한 상품 선택 가능
  • 운용 성과에 따라 퇴직금 액수가 달라짐

✔️ 이런 분에게:
“나는 투자를 직접 해보고 싶고, 수익률에 따라 퇴직금을 늘리고 싶어요”
중소기업, 스타트업 등에서 도입 많음


3️⃣ IRP (개인형 퇴직연금)

  • 개인이 가입해서 직접 납입하는 연금계좌
  • 직장인이든 프리랜서든 누구나 가입 가능
  • DC/DB 퇴직연금도 퇴사하면 IRP로 옮겨야 함
  • 납입액에 대해 세액공제 혜택도 있어요!

✔️ 이런 분에게:
“퇴직금 외에도 내 돈을 따로 넣어서 세금도 줄이고 싶어요”
직장인, 프리랜서, 자영업자 모두에게 필수


🤔 나는 어떤 퇴직연금 대상일까?

  • 직장인이면 회사에서 DB형 또는 DC형 중 하나를 운영하고 있을 거예요.
     보통은 입사할 때 선택하게 하거나, 회사 정책에 따라 결정돼요.
  • 프리랜서나 자영업자는 DC/DB형은 해당 없고,
     오직 IRP만 가입 가능해요.
  • 직장인도 IRP 추가 가입 가능!
     퇴직금과 별도로 IRP에 매년 납입하면,
    연말정산에서 세금 환급을 받을 수 있어요.

📌 퇴직연금은 왜 중요한가요?

  1. 퇴직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수단이에요
     → 회사가 망해도 내 퇴직금은 금융기관에서 보관 중!
  2. 내 스스로 운용할 수 있어요 (DC/IRP의 경우)
     → 펀드, 예금, 채권 등 상품 선택 가능
  3. IRP는 세액공제 혜택이 있어요
     → 연 700만 원까지 세금 환급 가능 (다음편에서 자세히 설명할게요!)

🐾 지후의 한마디

퇴직연금은 그냥 회사에서 알아서 해주는 돈이라고 생각하기 쉬워요.
하지만 내가 어떤 제도에 속해 있는지,
그 제도는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알아야
내 퇴직금과 노후 자산을 현명하게 지킬 수 있어요.

특히 IRP는 세금도 돌려받고, 연금으로도 쓰는 똑똑한 통장이에요.
다음 편에서는 IRP로 어떻게 세금 돌려받는지, 연말정산 꿀팁까지
자세히 알려드릴게요 :)

🔗 연관글 보기

👉 IRP 퇴직연금, 가입부터 운용까지

👉 IRP로 세금 돌려받는 법

👉 퇴직연금 어디서 가입할까요?

 

퇴직연금 유형(IRP·DC·DB)을 주제로, 직장인들이 연금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는 모습의 인포그래픽 일러스트
📌 출처: AI 이미지 생성 (ChatGPT 이미지 도구 사용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