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금 문제 피하려면 미리 꼼꼼하게 준비하세요
혹시 부모님께 목돈을 빌린 적 있으신가요?
아니면 자녀가 집을 산다고 해서 돈을 보내주신 적은요?
가족끼리니까 그냥 마음으로 주고받았다고 생각하기 쉽지만,
세법은 그렇게 봐주지 않아요.
차용증 없이 돈을 주고받으면 ‘증여’로 간주돼 증여세가 나올 수 있어요.
오늘은 부모 자녀 간 금전 거래에서 꼭 챙겨야 할 내용들을
하나하나 설명해 드릴게요.
💡 왜 차용증이 필요할까요?
부모 자녀처럼 ‘특수관계인’끼리 돈을 주고받을 땐
국세청이 의심의 눈초리로 봐요.
- "이건 빌린 거야"라고 해도,
차용증이 없고 이자도 안 받고 상환도 없으면
→ 사실상 '무상증여'라고 판단해요.
그래서 꼭 ‘차용증’을 작성하고,
이자 지급, 원금 상환도 실제로 해야 합니다.
✍️ 차용증, 이렇게 쓰면 안전해요
다음 항목을 꼭 포함해서 작성해 주세요:
- 대여 금액
- 대여 일자
- 변제 기한 (언제까지 갚을 건지)
- 이자율 (2025년 기준 최소 연 4.6%)
- 이자 지급 방식 및 일정
- 상환 방법 (계좌이체 등)
📌 공증 챙기면 좋아요!
차용증은 작성만 하면 끝이 아니라, 신빙성이 중요해요.
- 공증: 공증사무소에서 법적 효력을 갖도록 인증
이렇게 하면 국세청에서 봤을 때
"아, 진짜로 빌린 거구나"라고 인정해줄 확률이 높아요.
✅ 무이자로 빌려도 될까요?
가능은 해요. 하지만 조건이 있어요.
- 이자 차액(적정이자보다 낮게 받는 차이)이 연간 1,000만 원 이하여야 해요.
→ 이걸 기준으로 계산하면, 무이자로 안전한 금액은 약 2억 1,700만 원까지예요.
그 이상을 무이자로 빌려주면,
이자 차익을 ‘이득’으로 보고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어요.
📌 자주 헷갈리는 세금 포인트
- 증여세
- 무이자나 저이자로 빌려줬을 때 생길 수 있어요.
- 증여세 면제 한도는 **성인 자녀 기준 5,000만 원(10년)**이에요.
- 소득세 (부모)
- 자녀가 이자를 지급하면, 부모는 이자소득세를 내야 해요.
- 연간 금융소득 2,000만 원 여부와 관계없이 다음 해 5월 말까지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합니다.
- 자녀의 상환 능력
- 자녀가 소득이 없고 상환 계획도 없다면
→ 세무서에서는 “사실상 증여”로 판단할 수도 있어요.
- 자녀가 소득이 없고 상환 계획도 없다면
🧾 실무 팁 – 이렇게 하세요
- 이자와 원금은 꼭 계좌이체로 주고받으세요.
현금은 증빙이 안 돼요. - 이체 메모란에
"5월 이자 지급" "원금 일부 상환"
이런 식으로 적어두면 아주 좋아요. - 차용증은 PDF로 보관하고 출력본도 함께 준비해 두세요.
나중에 분쟁 생길 때 큰 도움이 돼요.
🌱 지후의 한마디
가족끼리 돈을 주고받을 때 괜히 ‘법적 문서까지 써야 하나?’ 생각할 수 있지만,
그 문서 하나로 세무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면 충분히 가치 있는 일이에요.
특히 부동산 자금이나 창업 자금처럼 큰 돈이 오가는 경우라면
차용증 + 공증 + 실제 거래 이력, 이 세 가지는 꼭 챙기세요.
작은 준비가 나중에 큰 문제를 막아줄 수 있어요.
꼼꼼하게, 지혜롭게 잘 챙겨보세요 :)
그리고 세금 관련 문제는 복잡할 수 있으므로, 거래 전에 세무 전문가와 꼭 상담하세요.
📚 관련 글 모아보기 – 생활 속 금융 & 세금 시리즈
- [2025년 5월부터 바뀐 현금 인출 보고 제도]
- 국세청 AI 시스템, 내 현금 인출도 추적될까?
- [계좌이체도 감시받을 수 있나요?] FIU 보고와 국세청 주의사항 정리
- 가족 간 송금, 증여 없이 어디까지 괜찮을까요? 생활비와 증여의 경계
- [전세 보증금, 자녀 계좌로 보냈는데 왜 증여가 될 수 있나요?]
- [성인 자녀에게 생활비 줬는데, 증여로 본다고요?]
- [결혼한 자녀에게 생활비 줬는데, 배우자까지 증여라고요?]
- [FIU가 뭔가요? 내 계좌도 보고 있나요?]
부모 자녀간에 금전거래시 차용증을 작성하는 것을 상징하는 이미지
출처: Pexels (무료 저작권 이미지)
'요즘 이슈 & 정보 모음 > 💸 생활 금융과 세금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계좌이체도 감시받을 수 있나요?] FIU 보고와 국세청 주의사항 정리 (0) | 2025.05.18 |
---|---|
[국세청 AI 시스템, 내 현금 인출도 추적될까요?] 일반인이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(3) | 2025.05.17 |
🧾 IRP 퇴직연금, 가입부터 운용까지 (2) | 2025.05.12 |
🧩 퇴직연금이 뭐예요? IRP, DC, DB 쉽게 정리해드릴게요. (0) | 2025.05.11 |
💸 IRP로 세금 돌려받는 법 (1) | 2025.05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