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선을 앞두고 후보자들의 공약 중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분야는 바로 세금, 연금, 복지예요. 단순한 현금 지원이나 세율 조정보다는 ‘실제로 내 삶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’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죠.
이번 글에서는 더불어민주당, 국민의힘, 개혁신당의 후보들이 발표한 주요 공약 중에서, 서민과 중산층에게 직접 영향을 주는 세금·연금·복지 정책들만 골라 비교해볼게요.
💵 세금 정책 비교
🔵 더불어민주당 (이재명 후보)
- 부자감세 철회: 상위 1%를 겨냥한 증세 추진
- 금융·부동산 등 자산 소득 과세 강화
- 가계 세금 부담은 유지 또는 완화
- 플랫폼 기업 조세 회피 방지 대책 강화
🔴 국민의힘 (김문수 후보)
- 소득세 기본공제 상향
- 장기투자 세제혜택 확대 (펀드·주식 중심)
- 가업상속 공제 확대, 부유세는 최소화
- 청년·신혼부부에 취득세 감면 지속
🟠 개혁신당 (이준석 후보)
- 자영업자 세부담 완화 중심
- 규제 완화와 함께 소득세 단순화
- 연금수급자에 대한 소득공제 확대 검토
🧓 연금 정책 비교
🔵 더불어민주당
-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상향 검토
- 기초연금 단계적 인상 → 월 최대 40만 원
- 청년층 국민연금 납부 유예제 검토
🔴 국민의힘
- 기초연금 월 40만 원 공약화 (현행 30만 원)
- 국민연금 개혁안 내년까지 확정
- 연금지급보장 명문화 추진
🟠 개혁신당
- 국민연금 수익률 제고 및 수급 유연화
- 청년세대 국민연금 부담 분리제 검토
- 다층연금체계 전환 (국민+기업+개인형)
❤️ 복지 정책 비교
🔵 더불어민주당
- 아동수당 지급 연령 확대 (만 11세까지)
- 간병비 건강보험 적용 확대
- 돌봄·장애인 서비스 공공 확대
- 저출산 대응: 다자녀 공제 강화, 육아비 지원
🔴 국민의힘
- 청년도약계좌 유지 및 확대
- 출산장려금 및 양육비 확대
- 의료 마일리지 제도 검토
- 장애인 자립지원 강화
🟠 개혁신당
- 돌봄 지원 서비스 민간 선택권 확대
- 간병비 세액공제 적용 검토
- 생계급여 지급 방식 개편 (현물+현금 혼합)
📌 현실 밀착 핵심 요약
- 세금: 민주당은 자산 소득 과세 강화, 국민의힘은 중산층 감세, 개혁신당은 단순화와 자영업 지원
- 연금: 민주당은 ‘더 주자’, 국민의힘은 ‘보장하자’, 개혁신당은 ‘유연하게 하자’
- 복지: 민주당은 공공복지 확대, 국민의힘은 인센티브형, 개혁신당은 자율 선택형 구조
✍️ 마무리하며
이번 선거는 세금과 복지 구조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갈림길이에요. 후보들이 약속한 내용을 단순히 보고 넘기기보다, ‘내가 어느 대상자에 속하는지’를 생각해보면 공약이 훨씬 현실적으로 다가올 수 있어요.
지후의 블로그 '지후의 인포잇'에서는 앞으로도 분야별 공약 비교를 이어갈게요.
다음 글은 “교육·보육 공약 비교”로 이어집니다!
2025 대선, 세금·연금·복지 정책을 여야 주요 후보별로 현실 밀착형으로 정리했습니다.
이미지 출처: ChatGPT 생성 이미지 (2025)
📌 [2025 대선 공약 비교 시리즈] 전체 보기
1️⃣ 여야 부동산 공약 비교 – 여야 핵심만 한누에 보기
2️⃣ 청년·무주택자를 위한 주거·일자리 공약 비교
3️⃣ 교육 보육정책, 누가 더 현실적인가?
4️⃣ 국민의 선택을 돕기 위한 핵심 정보 정리
'요즘 이슈 & 정보 모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📌 국민연금, 언제부터 받는 게 좋을까요? (2) | 2025.05.26 |
---|---|
📚 교육·보육 정책, 2025 대선 공약 비교 (5) | 2025.05.18 |
🏠 청년·무주택자를 위한 정책, 2025 대선 공약 비교 (6) | 2025.05.16 |
🗳️ 2025 대한민국 대선 여야 주요 공약 비교|국민의 선택을 돕기 위한 핵심 정보 정리 (5) | 2025.05.15 |
선거 벽보 낙서, X표 그리면 처벌받을까? 공직선거법 위반 사례까지 총정리! (1) | 2025.05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