혹시 요즘 이런 생각 드신 적 있으신가요? “이 일, 도저히 의미가 안 느껴져요.” “매일 회사 가는 게 너무 버거워요…”
요즘은 ‘퇴사’라는 단어가 더 이상 특별하지 않죠. 퇴사 준비, 조기 퇴사, 퇴사 브이로그까지…
일을 시작한 지 얼마 안 됐어도, 그만두고 싶다는 마음은 누구나 한 번쯤은 느껴봤을 거예요.
이번 글에서는 퇴사를 고민하게 되는 심리적, 사회적 배경과 함께,
일이 우리를 지치게 만드는 구조를 인문학적 시선에서 풀어보려 해요.
퇴사 욕구는 왜 이렇게 많아졌을까?
- 일에 대한 기대치 변화
- 예전에는 “안정된 직장”이 1순위였지만,
- 지금은 “의미”, “균형”, “나다운 삶”이 더 중요해졌어요.
- 성과 중심 조직 문화의 압박
- “성과가 없으면 존재가치도 없다”는 식의 구조
- 피드백보다 평가가 먼저 오는 시스템은 피로를 가중시켜요
- 무한 경쟁 속에서의 소진(burnout)
- 일은 점점 많아지고, 나를 위한 시간은 줄어들고…
- 현대인은 일 때문에 삶을 놓치고 있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아요
📌 퇴사하고 싶은 마음은 게으름이나 투정이 아니라,
‘지금의 구조가 나를 소진시키고 있다는 신호’일 수 있어요.
일은 왜 이렇게 피곤하게 느껴질까?
- 타인의 시선을 위한 노동
- “인정받기 위해” “좋은 평가를 위해”
- 일의 목적이 ‘내가 원하는 것’보다 ‘남의 기준’이 되는 순간, 피로가 커져요
- 루틴화된 반복과 창의성의 부재
- 매일 똑같은 업무, 익숙하지만 무의미한 루틴
- 사람은 의미를 찾을 때 덜 지치는데, 그것이 사라지면 쉽게 무너져요
- 자아의 위축
- 일이 내 정체성을 지나치게 차지할 때, 실패나 질책은 곧 ‘내 존재’에 대한 부정처럼 느껴져요
일이 내 일부가 되는 건 자연스러워요.
하지만 일이 ‘전부’가 되어선 안 돼요.
퇴사에 대해 스스로에게 던져볼 질문들
퇴사 충동이 올 때, 아래 질문들을 나에게 조심스럽게 던져보면 좋아요.
- “나는 지금 ‘무엇’에 지쳐 있지?”
- 일의 강도인가, 관계인가, 평가 시스템인가?
- “지금 이 감정은 퇴사로 해결될 수 있을까?”
- 도망인지 전환인지, 나 자신에게 솔직해지기
- “나는 어떤 방식으로 일하고 싶은가?”
- 의미, 자율성, 관계… 내가 바라는 일의 조건은 무엇일까?
📌 퇴사 자체보다 중요한 건,
그 마음을 통해 내가 원하는 삶의 방향을 마주하는 것이에요.
건강하게 일하기 위한 생각들
- 일은 삶의 한 부분일 뿐, 삶의 전부가 아니에요
- 일에서 소진됐다면 ‘회복의 시간’은 의무예요
- 나의 능력과 가치는 직장 안에서만 증명되지 않아요
우리는 “살기 위해 일하는” 것이지,
“일하기 위해 사는” 존재는 아니에요.
한 줄 요약 & 다음 예고
퇴사하고 싶은 마음은 단지 회피가 아니라,
자신의 감정과 삶의 방향을 돌아보게 해주는 중요한 신호입니다.
'역사로 읽는 인문 교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도스토옙스키의 『죄와 벌』 — 죄란 무엇이며, 인간은 어떻게 구원받는가? (2) | 2025.07.02 |
---|---|
플라톤은 왜 철인을 원했을까? — 『국가』로 읽는 이상 국가와 지혜의 정치 (2) | 2025.07.01 |
좋아요에 끌리는 마음 — 우리는 왜 인정을 갈망할까? (0) | 2025.06.19 |
MBTI에 끌리는 심리 — 나는 왜 유형에 기대는 걸까? (5) | 2025.06.17 |
유행은 왜 반복될까? — 따라 하고 싶은 마음의 심리와 철학 (2) | 2025.06.16 |